책소개
술을 발효하는 데는 상당한 과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병행복발효주(竝行復醱酵酒)의 대표적인 술이 일본의 사케(정종)이다. 이 술 역시 쌀로 만든 술로서 한국의 전통주라 할 수 있는 막걸리와 같은 양조 원리를 가진다. 따라서 일본의 정종 양조의 공정을 이해할 수 있으면 한국의 막걸리도 탁하지 않고 저장성 있고 위생적으로 만들 수 있으리라 여겨 편자는 이번 기회에 일본 술 양조의 학술용어를 수집하여 해설하고 한국의 술에 관련된 생활문화 그리고 주(酒)가 들어 있는 단어를 추려내어 편찬하게 되었다. 이 작은 책자가 좋은 술을 공부하는 학생, 주류공장에 종사하는 분, 그리고 발효식품을 연구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다시없는 영광으로 생각하겠다.
저자소개 정동효(鄭東孝)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졸업 · 중앙대학교 농대학장, 산업대학장, 부총장 역임 · 한국산업미생물학회장 역임 · 한국식품과학회장 역임 · 보사부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 역임 · 농림부 전통식품관리분과위원회 위원 역임 · 공업표준심의회 위원 역임 · 현재: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 저서 및 논문: 학술논문 120편, 전공저서 100여 권
목차 제1부 양조주(병행복발효주) 용어 제2부 청주제조(양조) 용어 제3부 특허청 전통주 1. 일반 단양주(單釀酒)의 제조 2. 속성 단양주(單釀酒)의 제조 3. 일반 이양주(二釀酒)의 제조 4. 속성 이양주(二釀酒)의 제조 5. 삼양주(三釀酒)의 제조 6. 약용 가양곡주(加香穀酒)의 제조 7. 순곡 증류주(蒸溜酒)의 제조 8. 약용 증류주(蒸溜酒)의 제조 9. 혼양주(混釀酒)의 제조 10. 혼성주(混成酒) 제조 제4부 술 생활문화 용어 제5부 옥편과 국어사전에서 주(酒)자의 용어 제6부 주(酒)가 든 고사성어 제7부 주(酒)가 든 한시(漢詩) 제8부 병행복발효주(酒)의 술맛보기 용어 1. 술맛 보기(술의 관능검사, 술의 pannel test) 용어 2. 청주 맛(味)에 관한 술맛보기 용어 3. 청주 향기(香氣)에 관한 술맛보기 용어 4. 청주 색(色)에 관한 술맛보기 용어 제9부 한국의 고문헌 속의 주류의 생활문화 1. 우리나라 술맛의 표현 용어 2. 탕액편(湯液篇)에서 술(酒)과 약용주 그리고 치료효과 3. 한의서(韓醫書) 중의 약용주 4. 술이 든 속담 5. 조지훈(趙之薰)의 주도유단(酒道有段) 제10부 부 록 1. 양조주 평가 시 고려할 사항 2. Testing notes 3. 시민품평회 평가표(과실주 부문) 4. 막걸리 관능 평가기준 5. 약주 관능 평가기준 6. 청주 관능 평가기준 7. 과실주 관능 평가기준 8. 증류식 소주 관능 평가기준 9. 일반 증류식 소주 관능 평가기준 10. 리큐르주 관능 평가기준 11. 알코올의 용량%와 일본주도 대조표(일본) 12. 알코올의 용량%와 비중(15/15℃) 환산표
|